인물 전통문화를 지키고 새롭게 창조하는 의성문화원입니다.
  • 홈
  • 문화와역사
  • 인물

이계 남몽뢰

이계 남몽뢰
『구소수간초선』의 발문을 지은 이계 남몽뢰

내용

 
구소수간초선의 발문을 지은 이계 남몽뢰
 


     
             <이계당>                                                          <이계집> 
 


영양남씨(英陽南氏)의 시조 남민(南敏)의 둘째 아들 남군보(南君甫)를 중시조로 하여 계보가 이어지면서 회령공 남우량의 8세손으로 문과에 급제, 통례(통례원에 속한 정3품 벼슬)에 오른 이가 바로 남몽뢰(南夢賚)이다. 선생의 자는 중준(仲遵), 호는 이계(伊溪)이며 본관은 영양으로 광해군 12(1620)에 점곡면 윤암에서 태어났다. 부친 남해준(南海準) 권지(權誌)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아우는 남용뢰(南勇賚)남중뢰(南重賚)가 있다. 부인은 아주신씨(鵝洲申氏) 신지의(申之義)의 딸이다. 어릴 때부터 문장이 뛰어났고 성리학과 예학 등의 공구(功究)가 깊었으며 정치적 신념 또한 투철하여 평생 절의를 굽혀본 적이 없던 분이라 한다.
 
23세 때인 인조 20(1642)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효종 2(1651)에는 식년문과에 급제하는데 성균관 학유 등을 거쳐 현종 12(1671) 4월에는 함양군수로 부임하기도 한다. 이때 흉년으로 굶어 죽는 유민을 진휼(軫恤)해서 이듬해 봄에 구황치적 제일의 공의로 준직(準職,:조선시대 정3堂下의 벼슬)의 명을 받게 된다. 이듬해인 현종 14(1673) 2월에 진주목사로 승진하고서야 함양군수로 재직 시 정홍현(1621-?)에게서 구소수간초선(歐蘇手柬抄選)을 전해 받은 것을 간행하고 발문을 짓게 된다. 이 책은 구양공(歐陽公:歐陽修)과 소동파(蘇東坡:蘇軾)의 수간(手簡:;주고받은 편지)을 수록한 모음집인데 구양공 편지가 47, 소동파 편지는 95편으로 모두 142편이나 되는 분량이다. 편지의 내용이 얼마나 귀감이 되었으면 병약했던 세종대왕이 세자 시절 책을 무려 1,000번이나 읽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한편 이윤이 배운 바를 배우고 이천이 뜻한 바를 뜻하리라 (學伊尹之所學 志伊川之所志)하며 호를 이계(伊溪)라 짓고 고을 이름은 윤이실(尹伊谷, 尹谷)이라고 불렀으며 지금도 속명으로 부르고 있다.
 
후일 선산부사로 근무하면서도 고을 백성을 위한 여덟 가지의 근심이 담겨 있는 시 선산팔고(善山八苦)를 지었는데 가운데 둘째 검전고(撿田苦) 의 내용을 보면

(중략)

傷暵傷滛又損風 슬픔과 상심이 그칠 사이 없고
今年饑饉最南中 이 해의 굶주림은 남쪽이 제일일세.
葛峴水田生火焰 도개 갈현의 수전에는 화염이 생기고
洛江浦畝産魚龍 낙동강포구에는 어룡도 허덕이네.
下戶迭呼庚癸急 앞집에선 흉년이 들 해라고 소리치고
上司猶責丙丁豊 윗사람은 아직도 풍년든 해의 세금을 내라 하네
多病此身那忍苦 병치레 많은 이 몸이 어찌 견디랴?
不如歸去作山翁 돌아가서 산옹으로 지내기만 못하네.
(此時自戶曺一依丙申丁酉田結數勒定責辨民苦之
: 이때 큰 흉년이 들었는데도 호조로부터 일률적으로 병신, 정유 두해 풍년이 들었을 때의
세금을 산정하여 독촉했기 때문에 백성들이 어려웠다
.)
 

선생이 남긴 저서는 많으나 고성(固城)과 임실군수(任實郡守)를 지낼 때는거관불망기(居官不忘記)를 지어 자신과 후임 수령들에게 경계로 삼기도 했다. 그 중 이계집(伊溪集)이계속집(伊溪束集)이 있다. 이계집63책 목판본으로 증손 남성천(南聖天) 등에 의하여 정조 2(1778)에 간행되었고, 이계속집32책 목판본으로 10세손 남우룡(南佑龍) 에 의해 1937년에 이계당(伊溪堂)에서 간행되었다.
선생이 태어난 곳에 직접 초가삼간을 짓고 이계당이라고 당호를 지었으나 소실되어 현손이 12칸 와가(瓦家)로 재건했으나 재차 소실되어 지금은 사랑채만 보존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3호로 지정되었다. 당시 남인인 미수 허목과 고산 윤선도와 교유한 관계로 편액은 미수 허목 선생이 썼고, 유림에서 선생의 공을 기려 이산서원을 지어 배향했으나 대원군 때 훼철되었다.
 

 
찾아 가는 길
이계당: 의성군 점곡면 윤암29-2